2025년 현재, 고용 불안정, 갑작스러운 질병, 가정 해체, 재난 피해 등은 누구에게나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다. 이런 급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복지 장치가 바로 긴급지원제도다. 특히 저소득층에게는 단 하루의 소득 단절도 생존과 직결되기 때문에, 긴급복지 시스템은 단순한 공공 서비스가 아니라 생존 인프라로 작동해야 한다.호주와 한국은 모두 국가 주도의 긴급복지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위기 판단 기준, 행정 접근성, 지원 속도, 대상 범위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한국은 2006년부터 긴급복지지원제도를 도입해 위기 가구를 돕고 있으며, 호주는 복지 서비스 통합 기관인 Services Australia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긴급 현금지원 및 서비스 연계를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두 나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