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는 저소득층을 위한 현금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단순한 생활비 지원을 넘어, 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 통합을 실현하는 핵심 복지 수단으로 간주된다. 팬데믹 이후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겹치면서 각국 정부는 현금 중심의 직접 지원을 확대해 왔으며, 이를 통해 최저 생계 유지뿐만 아니라 소비 진작, 자녀 교육, 건강 유지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하지만 동일한 목적을 가진 현금지원 제도라도 설계 방식, 지급 주체, 대상 기준, 금액 수준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다. 어떤 국가는 ‘보편적 지원’에 가까운 방식을 택하는 반면, 다른 국가는 ‘선별적·조건부 지급’을 통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려 한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복지국가와 중진국인 한국,..